Linux3 [AWS] ec2 멈춤 현상(docker나 기타 등등의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사용 시) 테스트 환경에서 테스트를 다 해보고, 운영체제가 리눅스로 되어있는 ec2 서버에 docker container(mysql)를 생성 하니, 갑자기 리눅스가 뻑나기 시작하는 것이다. 사실 처음에는 프로젝트 빌드타이밍에 뻑이나서 '아니 빌드하는데 이렇게 오래걸려?' 하면서 무한 대기를 했었는데, 그 이후에 서버가 멈춰서 아예 아무것도 쳐지지 않는 것이였다. 그래서 서버를 재시작 하고, 위에 화면(aws의 ec2 대시보드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.) 에서 중지를 누르고 기다리면 되는데, 안 꺼져서 한번 더 누르면 강제중지가 있어서 강제 중지를 했다. (인스턴스는 중지와 시작이 기본입니다. 종료 누르면 서버에 쌓아 놓으신거 다 날라가요.) (어차피 test니까 한번 날리고 또 해보는것도 좋을듯 ㅎㅎ) 아 그리고, 재.. 2022. 11. 9. [Tomcat] Tomcat에 port가 다른 서버들을 올릴때 요새는 docker로 서버를 말아서 올리는 경우가 많은데, 예전에는 gradle과 같은 빌드 툴로 프로젝트를 jar나 war 파일로 만든 다음에 (gradle일 경우 해당 프로젝트 폴더에 가서 ./gradlew bootwar 입력하면 해당 폴더의 build/lib 안으로 저장된다.) 해당 서버의 tomcat이 설치된 곳에 복사해 놓아서 하는 경우들이 대부분 이였다. 일단, tomcat이 설치된 폴더 webapps에 해당 파일을 가져다 놓으면 되는데, webapps안에 들어있는 기본 파일들을 다 삭제하고, tomcat 경로의 conf의 server.xml에서 context path를 설정 해주면 된다. (설정을 안하면, '홈페이지주소:포트/' 뒤에 매핑되는 식으로 된다.) -> 아닐수도 있음... 그래서 .. 2022. 11. 9. [JAVA] Jasypt 관련... 운영체제(window/mac,linux)에 따른 암호화(encrypt) / 복호화(decrypt) 문제 jasypt 라는 라이브러리가 있는데 이는 프로젝트내에 프로퍼티(application.yml ~.properties 등)를 암호화하는 라이브러리 중에 하나이다. 회사 컴퓨터는 window환경에서 코딩하고, 집에서는 맥북을 사용하는데, 회사에서 jasypt관련 class들을 짠 뒤에, 암호화키를 따로 텍스트에 저장해서 읽어오는 기능까지 만든 후에 잘 동작하는걸 확인하고, 주말에 집에 있는 맥북에다가 git pull 을 해서 사용하려고 하니, jasypt 관련 에러 때문에 프로퍼티들이 읽히지 않았다... "뭐가 문제지?" 하면서 처음에는 해당 글자(윈도우에서 암호화된 문자)들을 복호화했는데, EncryptionOperationNotPossibleException 위와같은 에러가 나면서 안 되는 것이였다. 그.. 2022. 10. 31. 이전 1 다음